세계적으로 봤을 때, 미국을 비롯해 유럽, 아시아 지역 등 여러 국가에서 스타트업지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. 그 이유는 침체된 경기를 살리고 새롭게 성장할 수 있는 동력으로 스타트업을 선정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이에 따라서 12년도에 전 세계적으로 투자를 했던 금액이 약 45억 달러에서 18년도 약 210 달러에 가까운 수치로 약 5배 정도 증가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. (참고: 주요국의 스타트업 지원 방식과 시사점, 서대훈, 2019)
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하게 지원을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정책을 통해서 힘을 쓰고 있는 추세이고, 이를 잘 활용하면 창업주 분들이 수월하게 사업을 시작하거나 진행하실 수 있는 투자 금액을 얻을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. 그렇지만, 사업이 제한적인 금액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모두에게 투자 금액을 투자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. 그래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이를 받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하지만, 처음으로 작성하시는 분들, 또는 이전에 모집 공고에 제출해 본 경험이 있지만 번번이 실패의 아픔을 맛보셨던 분들께서는 어려움을 느끼실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. 그렇다면 어떻게 작성해야 합격하는 초기창업패키지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을까요?
오늘은 그 방법에 대해서 다루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. 성공적인 사업의 첫 단계를 준비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오늘의 글을 꼭 읽고 넘어가보시기 바랍니다.
(2) 아이디어를 구체화해서 준비
자 그렇다면 위에서 행동할 수 있는 실행력을 갖췄다고 합니다. 그렇지만, 단순하게 실행을 한다고 해서 스타트업지원을 위한 사업에 공모를 할 수 있을까요? 그렇지 않다는 것을 모두가 잘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 다른 사람들에게 내 아이디어가 얼마나 뛰어난 것인지에 대해서 알리는 과정이 있어야 투자금을 받던지 사업이 시작되던지 등 여러 가지 일들이 일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.
보통 ppt를 이용해서 이러한 과정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,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담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이디어의 기술적인 내용들을 포함하는 방법들을 정리한 후에는 어떻게 사업화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준비를 해야 합니다. 뛰어들려는 시장은 얼마나 되는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, 전망 및 트렌드는 어떻게 되는지, 현재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, 내가 제시할 사업의 차별성은 무엇이고 어떠한 수익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인지 등을 구체하고 자세하게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.
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해선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일단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과정을 거치면, 어떻게 이 사업을 통해서 수익을 가져올 것인지에 대해 대략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. 그렇기 때문에 먼저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수단을 이용해서 알기 쉽도록 정리를 해두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.
이러한 작업을 집중적으로 1~2개월 동안 지속하다 보면, 투자 사업에 제출할 사업 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는 기본적인 틀이 완성됩니다. 이를 이용해서 투자금 확보를 위한 다음 단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투자해서라도 이 부분의 준비를 제대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…